dependency에 있는 값이 변하지 않으면 콜백함수를 계속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해줌
(React.memo 이용할 때 prop으로 비정형화 데이터를 받을 때 주로 이용함)
const memoizedCallback = useCallback(
() => {
doSomething(a, b);
},
[a, b],
);
DiaryEditor.js
item이 삭제 될 때는 해당 DiartyEditor가 리렌더링 되면 안되게 하기 위해서 React.memo를 사용했지만 리렌더링이 되는 현상이 일어남
→ 이는 prop으로 비정형화 데이터를 받기 때문
import React, { useEffect, useRef, useState } from "react";
const DiaryEditor = ({ onCreate }) => {
useEffect(() => {
console.log("DiaryEditor 렌더");
});
const authorInput = useRef();
const contentInput = useRef();
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{
author: "",
content: "",
emotion: 1,
});
const handleChangeState = (e) => {
console.log(e.target.name);
console.log(e.target.value);
setState({
...state,
[e.target.name]: e.target.value,
});
};
const handleSubmit = () => {
if (state.author.length < 1) {
// focus
authorInput.current.focus();
return;
}
if (state.content.length < 5) {
// focus
contentInput.current.focus();
return;
}
console.log("확인 : ", state.author);
onCreate(state.author, state.content, state.emotion);
setState({
author: "",
content: "",
emotion: 1,
});
alert("저장 성공");
};
return (
<div className="DiaryEditor">
<h2>오늘의 일기</h2>
<div>
{/* 아래처럼 value에 저렇게 값을 넣으면 직접 키보드로 값 변경 x */}
<input
ref={authorInput}
value={state.author}
name="author"
onChange={handleChangeState}
/>
</div>
<div>
<textarea
ref={contentInput}
value={state.content}
name="content"
onChange={handleChangeState}
/>
</div>
<div>
<select
name="emotion"
value={state.emotion}
onChange={handleChangeState}
>
<option value={1}>1</option>
<option value={2}>2</option>
<option value={3}>3</option>
<option value={4}>4</option>
<option value={5}>5</option>
</select>
</div>
<div>
<button onClick={handleSubmit}>일기 저장하기</button>
</div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React.memo(DiaryEditor);
App.js
그래서 해당 비정형화 데이터인 해당 onCreate 함수를 useCallback으로 묶어서 해당 dependency가 변화되지 않을 때 실행이 안되도록 해야함
[ ] 를 입력하면 문제는 onCreate함수는 component가 mount되는 시점에 한번만 생성되기에 그 당시에 dataState 값이 [ ]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으로 생성됬을 때에 dataState도 [ ] 이 되서 기존꺼 다 날린 다음 새로 생성된 newItem만 들어옴 ( 그래서 현재의 state값을 참조할 수 있어야함 )
그래서 결론적으로 [data]를 입력해야 하는데 그런데 data 값이 변경되면 onCreate를 재생성 (최신의 dataState 값을 얻어야해서 ) 그래서 딜레마에 빠지게
→ 해결방법 : 함수형 업데이트
dependency에 [ ] 을 넣고 setData 함수에 객체 값을 넣는게 아니라 해당 객체 값을 return하는 화살표함수를 인자로 넣으면 됨 그러면 항상 최신의 state를 인자를 통해 참조할 수 있음!
import { useCallback, useMemo, useEffect, useRef, useState } from "react";
import "./App.css";
import DiaryEditor from "./DiaryEditor";
import DiaryList from "./DiaryList";
import LifeCycle from "./Lifecycle";
// import OptimizeTest from "./OptimizeTest";
function App() {
const [data, setData] = useState([]);
const dataId = useRef(0);
const getData = async () => {
const res = await fetch(
"<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comments>"
).then((res) => res.json());
const initData = res.slice(0, 20).map((it) => {
return {
author: it.email,
content: it.body,
emotion: Math.floor(Math.random() * 5) + 1,
created_date: new Date().getTime(),
id: dataId.current++,
};
});
setData(initData);
};
useEffect(() => {
getData();
}, []);
const onCreate = useCallback((author, content, emotion) => {
const created_date = new Date().getTime();
const newItem = {
author,
content,
emotion,
created_date,
id: dataId.current,
};
dataId.current += 1;
// useCallback의 딜레마에 벗어나기 위해 함수에 인자로 함수를 전달하는 함수형 업데이트 이용
// newItem을 추가한 data를 return해주는 것을 전달한 것
// 이렇게 사용하면 dependecy 인자에 data를 안넣고 비울 수 있음
// -> 항상 최신의 state를 인자를 통해서 참고할 수 있음
setData((data) => [newItem, ...data]); //원래 데이터 를 가져오고 새로운 item은 최상단에 나오도록 함
}, []);
const onDelete = (targetId) => {
// filter 이용해서 삭제할 Id에 대한 일기 빼고 해당 객체 리스트 가져옴
const newDiaryList = data.filter((it) => it.id !== targetId);
setData(newDiaryList);
};
const onEdit = (targetId, newContent) => {
setData(
data.map((it) =>
it.id === targetId ? { ...it, content: newContent } : it
)
);
};
const getDiaryAnalysis = useMemo(() => {
const goodCount = data.filter((it) => it.emotion >= 3).length;
const badCount = data.length - goodCount;
const goodRatio = (goodCount / data.length) * 100;
return { goodCount, badCount, goodRatio };
}, [data.length]);
const { goodCount, badCount, goodRatio } = getDiaryAnalysis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{/* <LifeCycle /> */}
{/* <OptimizeTest /> */}
<DiaryEditor onCreate={onCreate} />
<div>전체 일기 : {data.length}</div>
<div>기분 좋은 일기 개수 : {goodCount}</div>
<div>기분 나쁜 일기 개수 : {badCount}</div>
<div>기분 좋은 일기 비율 : {goodRatio}</div>
<DiaryList onEdit={onEdit} onDelete={onDelete} diaryList={data} />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